OpenStack
설치방법(2,3 자동화된 도구)
문서에 있는것처럼 명령어로
devstack
redhat의 Packstack(puppet 기반)
Opensource로 구성된 Private Cloud Platform
Nasa와 Rackspace에서 초기 code 제공
영문알파벳순으로 버젼의 이름을 생성
현재 최신 버젼은 Rocky 임
설치과정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
Ubuntu에서는 스크립트를 이용하는 devstack방식으로 설치
단, 이 경우는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사용불가(현재는 아리송)
Radhat계열은 자동화 프로그램인 Puppet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Packstack 사용
Compute, Network, BlockStorage, ObjectStorage, DashBoard등을 담당하는 각각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.
3인1조로 프로젝트 팀을 구성할 것
Suse, Debian, Redhat 중 하나 선택 단 조별로 2개만 중복가능
All in one 방식, Controller Node-Compute Node를 분리하는 방식으로
Step by Step방식으로 설치 구성. 보유한 IP활용
> AWS를 많이 따라함
> DOCS
SDN : 소프트웨어로 만들어 놓은 네트워크
NFV : 가상화 안에 많은 기능을 넣어둔 것
keystone : 인증서비스
Horizon : 대시보드 GUI로 관리
> CentOS7 (minimal)
반복작업자동화 > Puppet를 이용하여 텍스트를 써 오픈스택설치
메모리 8GB
HD 100GB
기존 NAT
> 네트워크카드 추가 (Bridge)
>가상화속 가상화
> 설치대상
> 완료
> KDUMP
> 마지막 메모리 덤프로 남김
> 안함
> 체크해제
> 네트워크 연결 호스트
> 켜서
> 설정 IPv4 > 수동
ens33(NAT)
1.0.0.61 24 1.0.0.254
8.8.8.8,168.126.63.1
> 저장
> 보안정책
> 끄기
설치시작
> Root암호 설정
> 사용자 생성 (사용자이름이 UserName) > 성명만 보임
> 설치 후 재부팅
ifconfig 안먹힘
xshell에서 실행
> CentOS7-Pack
ip add
> ip add add 10.0.0.187/23 dev ens34
ip add 로 확인
ip route add default via 10.0.0.1
yum install -y bind-utils //nslookup
yum install -y net-tools //ifconfig
yum update -y
setenforce 0
vi /etc/sysconfig/selinux
SELINUX=disabled
systemctl stop firewalld
systemctl disable firewalld
timedatectl status | grep Seoul
yum list centos-release-openstack-*
> 최신인 rocky다운 받을 것임
yum install -y centos-release-openstack-rocky.noarch
yum install -y openstack-packstack
packstack --gen-answer-file my.txt
ls
vi my.txt
CONFIG_DEFAULT_PASSWORD=It1
1193번
10.0.0.0/23
1242번
packstack --answer-file my.txt
ubuntu 설치
Ubuntu16-devstack
MEM 8GB
HD 100GB
NAT
가상화지원
Bridge추가
> Ubuntu-16.04-server
우분투 서버 설치
키보드배열 찾지 않아도 됨
ens33(NAT)
1.0.0.62/24
8.8.8.8 168.126.63.1
> 도메인 설정x
시작폴더 암호화x
o (SSH 루트로 로그인 x)
디스크 전체 사용
> 업데이트 하지 않음
도메인x
openssh server 설치
sudo su -
useradd -s /bin/bash -d /home/stack -m stack
echo “stack ALL=(ALL) NOPASSWD: ALL” >> /etc/sudoers.d/stack
cat /etc/sudoers.d/stack
su - stack
git clone -b stable/rocky https://github.com/openstack-dev/devstack.git
(DNS설정 제대로 안되었을 때)
sudo vi /etc/resolv.conf
cd devstack/
ls
vi local.conf
HOST_IP=1.0.0.62
ADMIN_PASSWORD=It1
DATABASE_PASSWORD=$ADMIN_PASSWORD
RABBIT_PASSWORD=$ADMIN_PASSWORD
SERVICE_PASSWORD=$ADMIN_PASSWORD
./stack.sh
Devstack 껏다 키면 안됨
공용 - 사설 - 가상머신
관리 > 네트워크
프로젝트 : admin
: 프로젝트 admin으로 전환(기존에 있던 라우터, 네트워크 삭제)
공용 네트워크 생성
서브넷이름 : Public
네트워크 주소 10.0.0.0/23
게이트웨이 10.0.0.1
DHCP할당
Pools
=10.0.0.6-10.0.0.10
DNS
168.126.63.1
8.8.8.8
네트워크 생성
Private
admin
VXLAN
10
외부x, 공유x
10.1.0.0/24
10.1.0.1
=10.1.0.101-10.1.0.200
168.126.63.1
8.8.8.8
프로젝트 > 라우터
> 라우터생성 (외부에 붙어야함)
> 라우터 이름 : Router
네트워크 토폴로지
> 인터페이스 추가
서브넷 > Private
GW : 10.1.0.1
키페어
Compute > 키페어
키페어 생성
compute > 인스턴스
> 인스턴스 시작
Test
1
이미지
10GB 예(인스턴스 삭제시 볼륨 삭제)
위로 올려줌
512MB 1GB 올려줌 m1.tiny
Private 만 할당
(Public은 나중에)
키페어 생성
> 인스턴스 시작
https://wiki.centos.org/Download
> 파이어폭스에서 다운
Compute
> 이미지 > 이미지 생성
프로젝트
> compute
> 인스턴스
ds1G
> packstack(text로)에 가상머신설치하기
step by step방식
All in One과 controller, compute mode로 분리
Openstack Step-by-Step Installation & Config Project (0) | 2019.10.09 |
---|
댓글,
白柯