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5주차_1001(월)

하드디스크에서 메모리에 올라가는 것 : 프로세스(프로그램 하나하나)

 

리눅스 작업관리자 top

zombie (부모가 모르는 상태) > 없애려면 재부팅 필요

 > 프로세스가 끝내려면 부모프로세스의 허락이 있어야함

ni : 인위적으로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바꿔줌( -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↑)

버퍼 : 일괄작업

캐시 : 한번 서비스 했던걸 빠르게 다시하기위해 메모리에 저장

스왑 : 메모리가 부족할 때 동작 (동작시 느려짐, 하드디스크가 메모리처럼 쓰임 > 어쨋든 프로그램은 실행됨)

 

q 로 종료

 

프로세스 ps

-a 다른 사용자의 프로세스 표시

-x 화면에 보이지 않는 프로세스까지

-u 사용자 및 실행시간 표시

-ef PID로 정렬되어 있는 모든 프로레스 목록 출력

 

 

ps aux

VSZ : 버츄얼메모리 사이즈

RSS : 실제메모리 사이즈

ps ef

pts : 콘솔로 접속

tty : 가상터미널로 접속

 

ping 1.0.0.253 &

 

& :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겠다.

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

ps

 > ping(1462)

 

kill -9 %[프로세스넘버]

 

ctrl + c     : 죽임

ctrl + z     : 잠깐 멈춤

 

fg%1462

jobs

 > 작업번호

 

kill -9 %1[작업번호]

 

fg %1  > 포그라운드로 전환

 

백그라운드 상태에서는 인터럽트가 안먹힘

 

백그라운드 상태일때,

set UID >  root권한으로 실행됨(악용가능)

 

w : 지금현재 접속하고있는 사용자를 보여줌

who

whoami : 현재 접속하고있는 사용자가 누군지

 

wc : 워드 카운트

줄수 / 단어 / 용량

 

| more    : 되돌아감 불가(한페이지씩 넘김)

| less    : 되돌아감 가능

/(찾고자하는거 입력) : 검색

| grep root   : (root)특정조건 추출

 

which    : 위치

whereis

 

find [찾고싶은 디렉토리 위치]

 

&& : 앞에명령어가 성공하면 뒤에 실행

||    : 앞에가 실패해야 뒤에꺼 실행됨

;    : 명령을 연달아쓸때 씀

 

파일속성을 보고싶을 때

file a.txt

 

type a.txt

 

type cd

 

history     : 입력했던 명령어목록

 

PATH 가 등록되어있기때문에 해당디렉토리를 가지 않아도 실행됨

alias 쓰는법

alias cc='ls -hal'    : 등록

unalias cc    : 삭제

 

 

dos2unix    : dos에서 만든파일을 unix에서 인식하게 함

 

free    : 메모리 사용률

 

 

vi /etc/httpd/conf/httpd.conf

 > serverTokens Prod (제일안전)

OS, ALL

 

keepAlive : 자동로그아웃 설정

Listen : 접속포트 설정

 

server-status

 

:!bash        : ! 한번만 실행 (vi 편집기 잠깐 나감)

exit

 

> 다시 편집기로 돌아감

 

 

 

ACL(Access Control List)

- 순차적으로 적용됨

- 마지막에는 묵시적으로 deny all 이 적용됨

- 따라서 맨첫줄에 모든 걸 allow하거나 deny하면 안됨

 

Order deny,allow

> 뒤에가 먼저적용(allow)

 

사용자별 디렉토리 접근

UserDir disabled : 주석처리

UserDir public_html : 주석해제

 

사용자별 접근제어

htaccess -c .auth [사용자이름]

 두번째 만들때부터는 -c 사용안함(덮어써지기 때문)

 

 vi htaccess(해당디렉토리에가서 만들어야함)

AuthName    : 사용자 자격증명 이름

AuthType    Basic

AuthUserFile .auth

Require user a b

 

vi /etc/httpd/conf/httpd.conf

1011,1017co1017

vi /etc/named/babo.com.zone

 

 

#문제

1. 사용할 도메인 이름은 자신의 이니셜.com으로 합니다. 반드시

2. 홈페이지는 총 3개가 있으면 모두 가상 호스트로 동작을 합니다.

www, blog, intra

www 페이지는 모든 사용자 접근 가능 단  webroot는 /www에

 

> vi /etc/dhcp/dhcpd.conf

 

 

blog 페이지는 가상머신 중 w7-1(IP 1.0.0.101 DHCP예약사용)만 접속가능

이때 server-status, server-info 페이지 접속 가능하게

 

> vi /etc/httpd/conf/httpd.conf

 

 

 

intra 페이지는 가상머신 w7-2(IP 1.0.0.201 DHCP예약사용)만 접속가능

사용자 계정 aaa와 bbb만 접속 가능합니다.

 

vi .htaccess

 

3. Named 설정은 매일교환기 설정을 포함하며

네임서버의 이름은 ns1.이니셜.com으로 설정합니다.

 

4. 모든 설정 후에는 팀원끼리 접속도 가능해야함

 

> vi /etc/named.rfc1912.zones

 

(팀원들 도메인 추가)

 

 

     > cd /var/named

vi /jwyun.com.zone

 

(내꺼)

 

(팀원들) : 팀원들의 IP적용

 

vi /ly.com.zone

  나머지도 적용

 

 

 

 

 

 

'-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05주차_1004(목)  (0) 2018.10.04
05주차_1002(화)  (0) 2018.10.02
04주차_0928(금)  (0) 2018.09.28
04주차_0927(목)  (0) 2018.09.27
03주차_0921(금)  (0) 2018.09.21
더보기

댓글,

白柯