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체 글 검색 결과, 137
RIP
RIP classful routing protocol UDP : 520 > 멀티캐스트로 전달 전역설정모드 ) (첫번째 라우터) router rip network 1.0.0.254 network 1.0.10.1 passive-interface f0/0 do wr do sh run (두번째) network 1.0.1.254 network 1.0.10.2 network 1.0.10.5 (세번째) router rip network 1.0.10.6 network 1.0.2.254 passive-interface f0/0 do wr do sh ip rout do sh run 서브넷구별을 못해서 제대로 전달을 못함 (RIP v1의 약점, v2는 제대로 서브넷을 인식함) router rip version 2 netwo..Routing Protocol
Routing Protocol krnic > krnic.kisa.or.kr KISA > 한국인터넷진흥원 NIA > 한국정보화진흥원 Static Routing Protocol Dynamic Routing Protocol IGP > 동일조직 즉 동일 AS내에서 사용 EGP > 다른 AS간에 사용 Distance Vector Algorithm > 가장 라우터 개수가 적은 곳으로 (최적) Link State Algorithm > 모든 라우터한테 (대장필요) 계산값 전달 OSPF (변화가 생기면 대장하게 즉각적으로 통보하여 경로 재설정, 느림, 대장이 존재해야함) Advanced Distance Vector Algorithm > Cisco전용 Classfull Routing > 서브넷을 인식하느냐 못하느냐(클래스..VTP
VTP(VLAN Trunking Protocol) VLAN 구성정보를 전달 단 Port배정정보는 전달하지 않음 동일한 도메인과 Password 사용 Server, Client, Transparent Mode 존재 기본적으로 Server Mode 동작함 vlan 을 사용하지 않아도 통과하는 건 설정되어있어야 하기때문 대량으로 접속하기 위해 > Port정보 전달x (수동으로 배정) > 서버에서 vlan 구성 (처음 서버 설정) > 전역설정모드에서 show vtp status > Configuration Revision : 몇 번 변경 되었는가 패스워드 확인 show vtp password Server : server끼리는 정보를 공유 > vtp mode server (기본값은 server임) Transpar..L3 Switch
L3 Switch layer2, 3 (둘다지원) 라우터에서 DHCP구현 SVI(Switched Virtual Interface) Routed Port L2 스위치는 IP연결 x L3는 가능(no switchport 사용) (스위치) en conf t int g0/1 no switchport ip address 10.0.0.1 255.255.255.252 no shutdown exit (전역설정모드) ip routing (오른쪽꺼) en conf t int g0/1 no switchport ip address 10.0.0.2 255.255.255.252 no shutdown exit (전역설정모드) ip routing >Routed Port (왼쪽)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GW설정해 줘야하는데 IP충돌이남 (..InterVLAN
InterVLAN 서로다른 VLAN끼리의 통신을 가능케 하는 기술 Router or L3 Switch 가 필요하다. do show vlan bri do show run Server0 > DNS 1.0.0.0/25 > 네트워크 5 8 > (SM)/27 , 255.255.255.224 256/8 = 32 1.0.0.0~ 1.0.0.31(admin1,2 > 1.0.0.1, 1.0.0.2) 1.0.0.32~1.0.0.63(salse1,2 > 1.0.0.33, 1.0.0.34) 1.0.0.64~1.0.0.95(tech1,2 > 1.0.0.65, 1.0.0.66) 1.0.0.96~1.0.0.127 1.0.0.128~1.0.0.159 30 62 94 (GW) DNS 1.0.0.33 en conf t host Inte..가상화
Virtualization - hardware 자원을 추상적(논리적)으로 제공하는 기술 Virtual Machine의 사용목적은 Hardware자원을 최대한으로 활용하는데 있다. Cloud의 핵심 기술은 Virtualization(가상화)이나 Cloud 와 Virtualization은 동일한 의미는 아니다. Virtualization(가상화) 종류 Server Desktop Application 가장 일반적인 기술 사용자 데스크탑환경제공 App제공 Server 가상화 Hypervisor (type1) vmware esxi Citrix Xen windows hyper-v Hypervisor 가 Kernel을 가지고 있음. 운영체제의 역할도 수행 Hypervisor란, Hardware자원의 추상화 하여 가상..白柯